행사구성

공식행사

개막식

  • ● (개막식) 16시 개막식 개최, 개막식(1부) 박물관인의 밤(2부) 연속 진행
       * 개막식(16:00 ~ 17:00) → 박물관인의밤(17:20 ~ 19:00)
  • ● (박물관인의밤) 스탠딩 리셉션 및 네트워킹
  • ● 타임테이블
구분 시간 내용
1부
개막식
16:00 ~ 16:05 내빈소개 내외빈 소개
16:05 ~ 16:15 오프닝 세레모니 스카프 매듭풀기 세레모니
16:15 ~ 16:20 개회사 문화체육관광부 김영수 1차관
16:20 ~ 16:25 축사 국회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미정)
16:25 ~ 16:30 야마다니시 에미코 일본박물관협회장
16:30 ~ 16:35 환영사 광주광역시 강기정 시장
16:35 ~ 16:40 한국박물관협회 조한희 회장
16:40 ~ 17:00 공연 국악소녀 김태연
※ VIP 전시장 투어(40분) – 전시관람 (17:00 ~ 17:30)
2부
박물관인의 밤
17:20 ~ 19:00 박물관인 네트워킹(리셉션) - 스탠딩

공식행사 참석자 운영

  • - (개막식) 주요 VIP 및 주최·주관 관계자, 참가기업, 국내외 언론사 관련 종사자
  • - (박물관인의 밤) 주최·주관 관계자, 참여사, 학술행사 참석자, 관련 종사자

주제전

전국의 박물관·미술관과 그 소장품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담아 왔는지, 그리고 어떻게 미래로 이어갈 것인지를 묻는 공간입니다.
“빛나는 인류의 여정, 도전과 미래”

전국 뮤지엄이 보내온 소장품들은 각자의 공간에서 정성껏 길어 올린 작은 빛이자,
이 땅의 5천 년 역사와 문화가 축적된 지역 유산의 결정체입니다.

<모두의 컬렉션>은 그 빛들을 한데 모아, 인류 문명을 관통하는 네 가지 핵심 동력—재료, 터전, 서사, 진보를 중심으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와 도전, 그리고 그에 응답한 지혜와 비전의 여정을 입체적으로 풀어냅니다.

“하나의 이야기를 완성하는, 보이지 않는 손길”

<뮤지엄 사람들>은 한 전시가 완성되기까지, 전면에 드러나지 않는 수많은 손길과 과정을 조명합니다.
유물의 수집과 보존, 전시 기획과 디자인, 작품 운송과 설치, 교육과 콘텐츠 제작 등 서로 다른 전문 영역이 촘촘히 연결되어 하나의 이야기를 완성합니다.

주제전 조감도

특별전

박물관·미술관 지역교류전

박물관과 미술관, 그리고 지역이 만나는 특별한 시간

다양한 지역의 박물관·미술관이 예술과 자원을 교류하며,
모든 국민이 문화 향유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문화예술의 확산과 연결을 실현하는 사업입니다.

박물관·미술관 주간 「뮤지엄×만나다」

「뮤지엄×만나다」는 박물관·미술관 주간의 사업들 중 하나로,
2025년에는 ‘최초, 그리고 시작’을 주제로
전국 박물관·미술관이 소장한 우수한 문화자산 50건을 선정하여
각 소장품과 그에 담겨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소개하는 사업입니다.

디지털실감영상관

《디지털실감영상관》은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실감콘텐츠를 상영합니다.
이미지가 언어가 되는 시대, 우리의 문화유산을 더욱 진솔하게 느끼도록 할 것입니다.

박물관·미술관 콘텐츠명
국립중앙박물관 강산에 펼친 풍요로운 세상_강산무진도
국립한글박물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훈민정음
살아있는 한글
국립고궁박물관 고궁연화
국립극장공연예술박물관 춘설
김중업건축박물관 다큐멘터리 김중업의 건축세계
주한프랑스 대사관 지붕, 곡선의 미학
김중업 건축, 선과 음악으로 공명하다
김창열미술관 예술 정신
작품 소개
디자인씽킹뮤지엄 단오in조선
단오 이야기_책속으로 떠나는
문강석탄박물관 꿈을 캐러 가는 길
광부의 친구
속초시립박물관 70여 년의 기다림 지금 만나러 갑니다
경기도어린이박물관 <2개의 DMC>
해남공룡박물관 플라카테카르푸스의 여정,
김해한글박물관 파노라마 3면 영상
아트린뮤지엄 베일린 작가, 퀸덤스토리
국립저작권박물관 창작의 빛
안중근의사 기념관 뤼순에서의 외침- 안중근의사의 법정투쟁

학술행사

전문성 · 창의성 제고
키노트세션

변화하는 사회와 박물관·미술관의 도전

일정
9월 4일(목) | 13:00–15:30
장소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3층 회의실(301–306호)
학술포럼

사립 및 사립대학 박물관 전문인력 심화연수

일정
9월 5일(금) | 09:30–16:30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3층 회의실(301–303호)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술포럼

박물관과 박물관 사람들

일정
9월 5일(금) | 13:00–17:20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3층 회의실(301–303호)
주제
공립박물관과 지역공동체 상생 협력 정책
학술포럼

국립중앙박물관

일정
9월 5일(금) | 13:00–17:20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3층 회의실(304–306호)
학술포럼

사립 미술관 전문인력 – 예비인력 지원사업 직무교육

일정
9월 6일(토) | 13:00–17:30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3층 회의실(301–303호)
학술포럼

이지예술문화연구회 · 나주문화재단

일정
9월 6일(토) | 14:00–17:00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3층 회의실(304호)
주제
지역 문화자원 발굴과 활성화 전략

체험교육프로그램

일자 시간 프로그램명 교실
9월 4일(목) 10:00 동아대학교 박물관 <임시청사/부산전차 입체퍼즐 만들기> 교실01
쉐마미술관 <툭툭,톡톡-다양한 물질의 모빌만들기> 교실02
11:00 조선민화박물관 <민화컵받침> 교실01
대담미술관 <커피박캔버스 그리기> 교실02
14:00 국립광주박물관 <달항아리마카롱 만들기> 교실01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 <해양생물부채 꾸미기> 교실02
15:00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수선전도탁본 체험> 교실01
대구대학교 박물관 <팝업북만들기 3종_벽화고분,조선고택,승경도놀이>
부산대학교 박물관 <큐브만들기>
동아대학교 박물관 <임시청사/부산전차 입체퍼즐 만들기> 교실02
경희대학교 박물관 <향로모양 석고방향제>
9월 5일(금) 10:00 경희대학교 박물관 <향로모양 석고방향제> 교실01
대구대학교 박물관 <팝업북만들기 3종_벽화고분,조선고택,승경도놀이>
부산대학교 박물관 <큐브 만들기>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 <레진아트 만들기> 교실02
11:00 한국압화박물관 <꽝!꽝!압화> 교실01
충북대학교 <톡톡-현대의 도구> 교실02
14:00 M650 강원랜드 <광부모자 만들기> 교실01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 <압화부채 만들기> 교실02
전주대학교 박물관 <인센스만들기>
15:00 단국대학교 박물관 <당의키링 만들기> 교실01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수선전도탁본 체험> 교실02
9월 6일(토) 11:00 중원대학교 박물관 <종이카메라 조립> 교실01
단국대학교 박물관 <당의키링 만들기> 교실02
13:00 조선민화박물관 <우드목걸이 만들기> 교실01
쉐마미술관 <툭툭,톡톡-다양한 물질의 모빌만들기> 교실02
14:00 인제대학교 박물관 <비누클레이 만들기> 교실01
국립광주박물관 <아시아,도자의 꿈을 담다> 교실02
15:00 중원대학교 박물관 <종이카메라 조립> 교실01
리-본 인형공작소 <발도로프 천사인형 제작> 교실02
9월 7일(일) 11:00 인제대학교 박물관 <비누클레이 만들기> 교실01
조선대학교 박물관 <사방등 만들기> 교실02
13:00 충북대학교 <톡톡-현대의 도구> 교실02
14:00 리-본 인형공작소 <발도로프 천사인형 제작> 교실01
국립광주박물관 <아시아,도자의 꿈을 담다> 교실02
15:00 리-본 인형공작소 <발도로프 천사인형 제작> 교실01
대담미술관 <커피캔퍼스 그리기> 교실02

부대행사

일자 구분 시간 교육프로그램
9월 5일(금)

네트워크 프로그램 일정

구분 시간 내용
1부 15:00-15:05 오프닝(주최측 인사말 및 프로그램 안내)
15:05-16:05 인사이트 피치
AI시대의 대전환 속 중소형 박물관의 미래 ㅣ 전은실 책과 인쇄박물관 관장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속발전 가능한 생존전략ㅣ김철수 대산미술관 관장
사립 박물관 어떻게 할 것인가? ㅣ 이범관 지적박물관 관장
16:05-16:20 참가자와 질의 응답
16:20-16:30 휴식
2부 16:30-17:10 시인과의 대화(시낭송)
이지엽 시인(시에그린 한국시화박물관관장)
예향의 소리
김산옥 국악인(남도판소리 및 퓨전공연)
17:10- 마무리
9월 6일(토)

토론콘서트 관장과의 대화일정

프로그램 내용
14:00-14:05 오프닝(주최측 인사말 및 관장님 소개, 관장님 인사말)
14:05-14:45 토크 콘서트 ㅣ 관장과의 대화
▪채종기 은암미술관 관장
▪임양수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 관장

소개 및 비하이든 토크
▪전시 기획 의도, 주요 작품 소개
▪어떤 점에 주목하면 좋을지 관람 팁 제공

박물관 미술관 운영 이야기
▪소장품 수집, 연구, 교육 프로그램
▪디지털 전환, 지역사회 연계 등 최근 변화와 과제
14:45-15:00 질의 응답
9.4(목) ~ 6(토), 3일간

진로상담관 : 뮤지엄 잡다(JOB多)

▪ 운영일정 : 9.4(목) ~ 6(토), 3일간
▪ 현장접수 : 진로상담관 앞

프로그램 9.4(목) 9.5(금) 9.6(토)
국공립박물관 인사담당자 진로상담 15:00~17:00 경기문화재단 10:00~17:00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광주문화재단
10:00~17:00 전라남도문화재단
전문가 멘토링 및 강연 10:00~17:00 남궁윤재 교수 10:00~17:00 한지원 도슨트 10:00~17:00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취창업 컨설턴트 컨설팅 10:00~17:00 정호훈 컨설턴트 10:00~17:00 정호훈 컨설턴트 10:00~17:00 정호훈 컨설턴트
9월 4일(목)~9월 7일(일) 4일간 사전예약 (1일 4회) 도슨트 전시 관람 및 체험교육
- 장소: (현장접수) 로비 안내데스크
9월 4일(목)~9월 7일(일) 4일간 운영기간 내 체험교육실 프로그램
- 장소: (현장접수) 전시장 내부 체험교육실 앞

행사구성

관장의 시선으로 읽는, 뮤지엄의 또 다른 이야기.

  • · 공식행사 (개막식, 박물관인의 밤)
  • · 전시 (주제전시, 특별전시)
  • · 박물관·미술관, 산업전, 체험·교육전
  • · 학술포럼 및 세미나
  • · 부대행사(뮤지엄 토크, 뮤지엄 클래스)